사이트맵 이동
모바일 메뉴 오픈
센터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조직구성
센터둘러보기
찾아오시는 길
지원내용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
지원프로그램
상담지원
수사지원
의료지원
법률지원
임상심리검사
심리치료
자료마당
공지사항
자주있는 질문
갤러리
해바라기 소식
상담통계
기사모음
닫기
센터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조직구성
센터둘러보기
찾아오시는 길
지원내용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
지원프로그램
상담지원
수사지원
의료지원
법률지원
임상심리검사
심리치료
자료마당
공지사항
자주있는 질문
갤러리
해바라기 소식
상담통계
기사모음
성폭력
지원내용
센터소개
지원내용
지원프로그램
자료마당
성폭력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
성폭력이란?
성폭력은 강간, 윤간, 강도강간 뿐 아니라 성추행, 언어적 희롱, 음란전화, 성기노출, 어린이 성추행, 아내 강간 등 상대방의 동의없이 가하는 성적 모든 행위로 신체적·언어적·정신적 폭력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입니다.
성폭력 피해 시 대처방법
사건 현장에서 증거가 될만한 것들을 확보합니다
몸을 씻지 말고 옷을 갈아입지 마세요. (속옷 포함)
옷을 갈아입었다면 세탁하지 말고 종이봉투에 담아 출동한 경찰관 혹은 센터에 제출합니다.
타액이나 정액 등 중요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건 발생 후 72시간 이내
에 채취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수집된 증거는 가해자 처벌을 위한 법적 절차를 밟을 경우 중요한 증거자료가 됩니다.
즉각적인 신고
가능하면 빨리 112에 신고합니다.
가해자가 아동의 친척·부모·학교와 관련이 있는 경우 신고가 망설여질 수 있으나 이런 경우에도 반드시 신고를 해야 재발을 방지하고, 피해 자녀를 보호하고 회복으로 이끌게 됩니다.
증거 보존하기
성폭력이 의심되는 증거들을 보존하고 가해자 식별의 주요 단서가 되는 의학적인 근거에 대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거 및 단서가 소멸되기 때문에 가정(학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신속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증거 보존을 위한 필요 조치
신체에 남아 있는 성폭력 증거물이 훼손되지 않도록 합니다.
(손 씻기, 세수, 양치, 질 세척, 샤워는 하지 말고 가능한 대·소변도 삼가)
가해자 식별의 주요 단서가 될 수 있는 증거물
들(피해 당시 입었던 겉옷, 속옷, 휴지 등)을 갈아입거나 세탁하지 않도록 합니다. 갈아입었을 경우에는 피해 당시 입었던 옷을 종이봉투에 보관하고,
72시간 내
에 경찰관 또는 전문기관에 제출합니다..
음식물을 먹거나, 음료수를 마시지 않도록 합니다.
성범죄 현장을 증거 훼손 방지를 위해 청소 등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